Grafana 4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1

요즘은 log를 DB에 저장해서 찍는게 아니라 별도로 운영한다고 한다.(?) 네? 이 포스트는 다음과 같은 요청(?)에 의해 탄생했다. 문송씨, 프로메테우스로 그라파나 띄워봐요 ?????네?????? 오늘도 문송한 하루였다. 그래 문송아 .... 공부하자 ... log와 서버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프로메테우스라는 툴과 수집한 내용을 시각화해서 보여주는 그라파나라는 툴이 있다는 걸 알게되었다.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단순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프로메테우스 각종 모니터링 데이터를 수집, 저장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그라파나 데이터를 시각화 해주는 모니터링 프로그램 혹시라도 궁금하실까봐. 난 문과라 어쩔 수 없다. 프로메테우스 뜻, 그라파나 뜻 이런게 더 궁금하다. 프로메테우스 (promethe..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4

3. Grafana 설치 및 적용 이제 마지막이다 그라파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https://grafana.com/grafana/download 설치 완료 후에 서비스에 그라파나가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한다. 그라파나를 구동한다. localhost:3000 으로 접속하면 그라파나가 구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이디 / 패스워드를 admin / admin 으로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 비밀번호 바꾸라고 나오는데 skip을 눌러 넘어가준다. 메인 화면이다. 이제 거의 다 왔다. configuration > datasources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add data source를 클릭한다. 다른 여러가지 항목이 보인다. 미리 설정해 두었던 프로메테우스를 연결하자! url은 http://localhos..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3

2. prometheus 설치 및 적용 프로메테우스를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https://prometheus.io/download/ 문송이가 사용한 버전은 2.35버전이며 뒤에 windows-amd 64가 붙은 zip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premetest 폴더에 풀어준다. (어디든 관계 없다) yml파일을 VS코드(IDE)로 열어준다. 수정할 곳은 제일 마지막에 static_config 의 targets 항목이다. 127.0.0.1:1234로 적어둔다. 아까 localhost:1234의 데이터가 나오는 곳이다. 이곳을 target으로 잡으면 프로메테우스가 metric 데이터를 가져온다. 수정이 완료 됐으면 prometheus.exe를 실행한다. "Server is ready to receive we..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2

1. 데이터(메트릭) 수집환경 준비 먼저 로컬 서버 환경을 구성해서 메트릭을 준비한다. 얘가 제일 어렵다. 덧. 이부분이 어렵고 귀찮은 이유를 설명하자면, 매시간 단위로 거의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수치화된 데이터가 있어야 그라파나에서 확인하기 쉽기 때문이다. (DB에서 테스트 데이터 만드는 것도 빡시다.) 데이터를 가져올 서버 구성(톰캣 기본) https://tomcat.apache.org/download-80.cgi 많이 쓰이는 8.5 버전을 받았다. tip. 다운로드 받고 압축을 해제하는 폴더는 계속 사용하는 폴더니까 C드라이브나 D 드라이브 가깝게 둔다. 본인 사양에 맞게 64비트로 다운받았다. 해당 zip파일을 풀어준다. 경로는 C에 가깝게(연습이니까 편의성을 위해) 'prometest' 폴더를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