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prometheus 설치 및 적용
프로메테우스를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https://prometheus.io/download/
문송이가 사용한 버전은 2.35버전이며 뒤에 windows-amd 64가 붙은 zip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premetest 폴더에 풀어준다. (어디든 관계 없다)
yml파일을 VS코드(IDE)로 열어준다.
수정할 곳은 제일 마지막에 static_config 의 targets 항목이다.
127.0.0.1:1234로 적어둔다.
아까 localhost:1234의 데이터가 나오는 곳이다.
이곳을 target으로 잡으면 프로메테우스가 metric 데이터를 가져온다.
수정이 완료 됐으면 prometheus.exe를 실행한다.
"Server is ready to receive web requests." 라고 뜨면 정상이다.
이제 프로메테우스의 설정 화면으로 가보자. http://127.0.0.1:9090/ (localhost:9090)이다.
프로메테우스가 잘 돌아가고 있다. 데이터를 잘 가져오는지 확인한다.
endPoint와 state 를 보자, 확인할 사항은
1. target으로 설정한 ip와 endpoint가 일치하는지 확인
2. state가 up으로 되어있는지 확인한다.
참고로 prometheus.yml 의 target 주소를 잘못입력하거나 데이터를 못가져오거나 하면 이렇게 빨간색이다.
'studying, now > prometheus & Grafa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1 (0) | 2022.05.19 |
---|---|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4 (0) | 2022.05.19 |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2 (0) | 2022.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