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ing, now/prometheus & Grafana

[windows] 쉽게 프로메테우스와 그라파나 설치 및 테스트하기 #4

그라파나 2022. 5. 19. 11:04

3. Grafana 설치 및 적용

이제 마지막이다 그라파나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https://grafana.com/grafana/download

 

설치 완료 후에 서비스에 그라파나가 등록되어있는지 확인한다.

 

그라파나를 구동한다.

localhost:3000 으로 접속하면 그라파나가 구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아이디 / 패스워드를 admin  / admin 으로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

 

비밀번호 바꾸라고 나오는데 skip을 눌러 넘어가준다.

메인 화면이다. 이제 거의 다 왔다.

configuration > datasources 항목을 선택한다. 여기서 add data source를 클릭한다.

 

다른 여러가지 항목이 보인다. 미리 설정해 두었던 프로메테우스를 연결하자!

url은 http://localhost:9090/ 으로 설정한다. 다른 설정은 일단 넘어가기로 한다.

바로 save & test를 눌러준다.

프로메테우스가 연동되었다! 이제 게시되는 그래프를 정해줘야 한다. + 버튼을 눌러서 대쉬보드를 만들면 된다.

 

빨리 보고 싶으니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대쉬보드 형식을 바로 불러올 것이다.

 

import를 클릭한다.

 

 

import 화면이다. 왜인지는 모르겠으나 upload JSON file은 되질 않는다.

 

2번째 입력창에는 그라파나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는 dashboard의 형식의 url을 입력하는 곳이다.

 

찾아서 넣으면 되는데 시간을 줄이기 위해 기존 json 파일의 코드를 3번째 입력창에 넣고 load를 누른다.

 

json 파일의 코드는 아래쪽에 두었으니 복사해서 쓰기 바란다.

 

대쉬보드의 이름을 설정하고 생성이 완료되면

 

 

우리가 원하는 화면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JSON 파일다운로드

grafana.json
0.04MB